[금강경 1회차] 법회의 시작과 깨달음의 질문 – 제1분~2분 금강경 원문 뜻 해석
공간에서 세상으로’ 금강경 연재 시리즈 1회차입니다.
오늘은 법회의 인연과 첫 번째 질문이 담긴 제1분~2분의 원문과 그 뜻을 쉽게 풀어봅니다.
금강경은 단순한 철학이 아니라 수행자의 마음을 바로잡는 살아 있는 지혜입니다. 특히 ‘여시아문’으로 시작되는 독경 형식의 금강경은 불자들의 수행과 정진의 중심에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강경 제1분과 제2분을 한문 원문, 한글 음독체(한글 원문), 일반 해석 세 가지 버전으로 정리해드리며, 마지막엔 실천 포인트도 함께 나눕니다.
1. 제1분 법회인유분 (法會因由分)
1) 한문 원문
如是我聞。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俱。爾時世尊食時。
著衣持鉢。入舍衛大城乞食。於其城中。次第乞已。
還至本處。飯食訖。收衣鉢。洗足已。敷座而坐。
2) 한글 원문 (음독체)
여시아문, 일시불 재사위국 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구. 이시세존 식시.
착의지발. 입사위대성 걸식. 어기성중. 차제걸이.
환지본처. 반식흘. 수의발. 세족이. 부좌이좌.
3) 일반 한글 해석
이와 같이 나는 들었습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원정사에 계셨습니다.
그때 부처님은 1,250명의 큰 비구들과 함께 계셨습니다.
공양 시간이 되어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사위국 대성 안으로 들어가 탁발하셨습니다.
차례로 탁발을 마친 후 본래 자리로 돌아오셔서, 식사를 마치고 옷과 발우를 거두신 다음, 발을 씻고 자리에 앉으셨습니다.
2. 제2분 선현기청분 (善現起請分)
1) 한문 원문
時長老須菩提。在大衆中。即從座起。
偏袒右肩。右膝著地。合掌恭敬而白佛言。
希有世尊。如來善護念諸菩薩。善付囑諸菩薩。
世尊。善男子善女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應云何住。云何降伏其心。
作是語已。世尊告須菩提。善哉善哉。
如汝所說。如來善護念諸菩薩。善付囑諸菩薩。
汝今諦聽。當為汝說。善男子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應如是住。如是降伏其心。
2) 한글 원문 (음독체)
시장로수보리, 재대중중, 즉종좌기.
편단우견, 우슬착지, 합장공경이백불언.
희유세존, 여래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
세존, 선남자 선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
작시아이, 세존고수보리, 선재선재,
여여소설, 여래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
여금제청, 당위여설, 선남자 선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자, 응여시주, 여시항복기심.
3) 일반 한글 해석
그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속에서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 무릎을 꿇고, 합장한 채 공경스럽게 부처님께 말씀드렸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보호하고 가르치십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와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킨다면,
그 마음을 어떻게 머물게 하고, 어떻게 다스려야 합니까?”
이 말을 들은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좋다, 좋다. 너의 말과 같다. 여래는 모든 보살을 잘 보호하고 잘 가르친다.
이제 잘 들으라. 너를 위해 설명해주겠다.
선남자와 선여인이 무상정등정각의 마음을 일으켰다면,
그 마음은 이와 같이 머무르고, 이와 같이 다스려야 한다.”
3. 실천 포인트
1) 불교 수행은 매일의 삶 속에서
부처님의 탁발과 수행은 일상과 떨어진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반복되는 일상에서 깨어 있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수행의 시작입니다.
2) 수보리의 질문을 나에게
“그 마음은 어디에 머물고,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이 질문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통하는 근본적인 자기 성찰입니다.
3) 독경의 리듬으로 되새기는 지혜
한글 원문을 리듬감 있게 반복 독송하면, 마음 안에 자연스럽게 가르침이 새겨집니다.
금강경의 시작은 단순한 역사적 상황 설명이 아니라 수행의 자세를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특히 수보리의 질문은 금강경 전체 주제를 여는 열쇠이며,
한문, 한글 원문, 일반 해석을 함께 읽으면 독경뿐 아니라 깊은 통찰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단순한 공부를 넘어 마음공부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이 포스팅은 불교 경전 자료를 기준으로 ChatGPT 도움받아 분석 정리해 작성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 댓글은 답방 갑니다. 구독하기 품앗이 합니다.
금강경, 금강경 원문, 금강경 한글 원문, 금강경 해석, 불교 경전, 여시아문, 수보리, 공사상, 독경
Keywords (English)
Diamond Sutra, Diamond Sutra Korean translation, Buddhist scripture, Yeosiamun, Subhuti, Emptiness, Recitation
다음 2회차(제3분~11분)도 같은 형식으로 이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 2회차 (제3분~11분 금강경 원문 뜻 해석) 보기
https://cm8832.tistory.com/641
'불교 가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3회차] 응화의 지혜로 회향하다. – 제12분~32분 금강경 원문 뜻 해석 (2) | 2025.04.21 |
---|---|
[금강경 2회차] 공(空)과 무주(無住)의 핵심 사구게 – 제3분~11분 금강경 원문 뜻 해석 (0) | 2025.04.20 |
(천수경 제3편) 천수경 뜻풀이 – 천수경 가사와 원문 해석으로 배우는 자비와 수행의 지혜 (1) | 2025.04.14 |
(천수경 제2편) 천수경 원문(한문·한글), 천수경 뜻 (3) | 2025.04.14 |
(천수경 제1편) 천수경이란? 천수경 가사와 원문, 뜻을 알기 위한 첫걸음 (Cheonsugyeong Introduction)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