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기타정보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대법원 전원합의체로…법과 정치의 시험대

공간세상 2025. 4. 23. 03:40
320x100
320x100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대법원 전원합의체로…법과 정치의 시험대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대법원 판결, 대법관 성향, 정치판결 논란)


안녕하세요, 공간에서 세상으로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현재 대한민국 정치와 사법계를 동시에 흔들고 있는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심층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이 사건은 현재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회부되어 있으며, 최종 판결이 정국의 중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1. 사건 개요 – 허위사실 공표 혐의
이재명은 2021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방송 인터뷰에서
성남도시개발공사 고 김문기 처장을 몰랐다고 발언하고,
백현동 부지 용도 변경은 국토부의 압박 때문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검찰은 이 발언이 유권자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허위사실 공표죄에 해당한다며 이재명을 기소했습니다.



2. 1심 재판 – 유죄 판결
1심 재판은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34부,
한성진 부장판사의 심리로 진행되었습니다.
재판부는
김문기를 몰랐다는 발언이 명백히 허위이며,
백현동 발언 역시 사실 왜곡으로 판단해
허위사실 공표죄 유죄를 인정했습니다.

그 결과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이라는 실형에 가까운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의 발언은 선거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허위 사실”이라고 판단했습니다.



3. 2심 재판 – 무죄 선고 및 논란
2심은 서울고등법원 형사6부에서 진행되었으며,
최은정 부장판사, 이예슬 판사(주심), 정재오 부장판사로 구성된 대등재판부가 맡았습니다.
이 재판부는 1심 판단을 뒤집고,
이재명의 발언은 정치적 의견 표현의 일부이며,
공표된 내용이 유권자의 판단을 명확히 오도할 정도는 아니다라는 이유로
전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하지만 이 판결에 대해 법조계 일각에서는 강한 비판이 나왔습니다.
법리적 근거가 약하고 판결문 자체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평가와 함께,
“진보 성향 판사들의 정치적 판결, 즉 이재명 살리기용 판결이라는 비판이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힌 중대 사건에서 이처럼 전면 무죄가 나온 것은
사법의 정치화 우려를 키운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4.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 – 최종 판결 앞둬
2025년 4월 22일, 대법원은 이 사건을 전원합의체로 회부했습니다.
전원합의체는 대법원장 1명, 대법관 13명으로 구성되며, 총 14인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에서는
천대엽 대법관이 법원행정처장 직무로 인해 관례상 불참하며,
노태악 대법관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겸직으로 회피 신청하여 제외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재명 사건의 심리에는 대법원장을 포함한 총 12명이 참여하게 됩니다.



5. 대법관 성향 분석 – 진보 / 중도 / 보수

진보 성향 대법관
이흥구: 해직 변호사 출신, 인권중심 시각
오경미: 젠더·소수자 권리 강조, 진보적 해석 경향

2명으로 분류할수 있으며,

중도 또는 유보 성향 대법관
서경환 대봅관을 포함 8명으로 분류할수 있으며,

보수 성향 대법관
조희대 대법원장과 오석준 대법관으로 분류하루 있으며,

전원합의체 구성은 진보 2명, 보수 2명, 중도 또는 유보 8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중도~보수 우위 구조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6. 향후 일정과 정치적 파장
공직선거법은
1심: 기소 후 6개월 이내,
2심·3심: 각각 3개월 이내 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2025년 6월 26일 이전에 최종 판결을 내려야 하며,
이는 6월 3일 총선 정국과 맞물려 막대한 정치적 파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7. 법과 양심에 따른 판결이 역사에 남는다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은 정치인 발언의 허용 범위,
허위사실 공표죄의 법리 적용 기준,
그리고 사법부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모두 시험하는 사건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사건이 사법의 정치화로 이어지지 않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과거 헌법재판소가 헌법개판소로 전략하여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을 내렸다는 비판이 있을 정도로 
일부 국민은 그것을 정치적 개판단이었다고 받아들였고,
그 후유증은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의 갈등 요소로 남아 있습니다.

이번 사건 역시 정치적 성향이나 외부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면
사법부의 공정성과 중립성은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입게 됩니다.

따라서 전원합의체에 참여하는 12인의 대법관은
오직 법리에 따라,
오직 헌법과 양심에 따라
대한민국 국민을 위한 정의로운 판결을 내려야만 할 것입니다.

이재명 사건의 판결은 단순한 정치인의 진위 여부를 넘어,
우리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와 사법 독립의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입니다.


조희대 (대법원장): 2023.12.08.~2027.06.05. / 제청자: 윤석열 / 임명자: 윤석열 

노태악: 2020.03.04.~2026.03.03. / 제청자: 김명수 / 임명자: 문재인 

이흥구: 2020.09.08.~2026.09.07. / 제청자: 김명수 / 임명자: 문재인 

천대엽(재판 불참): 2021.05.08.~2027.05.07. / 제청자: 김명수 / 임명자: 문재인 

오경미: 2021.09.17.~2027.09.16. / 제청자: 김명수 / 임명자: 문재인 

오석준: 2022.11.25.~2028.11.24. / 제청자: 김명수 / 임명자: 윤석열 

서경환: 2023.07.19.~2029.07.18. / 제청자: 김명수 / 임명자: 윤석열 

권영준: 2023.07.19.~2029.07.18. / 제청자: 김명수 / 임명자: 윤석열 

엄상필: 2024.02.29.~2030.02.28. / 제청자: 조희대 / 임명자: 윤석열 

신숙희: 2024.02.29.~2030.02.28. / 제청자: 조희대 / 임명자: 윤석열 

노경필: 2024.08.06.~2030.08.05. / 제청자: 조희대 / 임명자: 윤석열 

박영재: 2024.08.06.~2030.08.05. / 제청자: 조희대 / 임명자: 윤석열 

이숙연: 2024.08.06.~2030.08.05. / 제청자: 조희대 / 임명자: 윤석열

마용주: 2025.04.00. - 2031.04.00 / 제청자 : 조희대 / 임명자 한덕수대행



좋아요, 댓글은 답방 갑니다. 구독하기 품앗이 합니다.

#이재명 #선거법위반 #공직선거법 #대법원전원합의체 #대법관성향 #법리에따른판결 #진보판결논란 #윤석열파면비판 #정치적판결 #이재명무죄 #이재명대법원 #표현의자유 #정치재판 #헌법재판소 #김명수 #천대엽 #노태악 #서울고법 #서울중앙지법

English Summary
Lee Jae-myung’s case, involving alleged false statements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has reached the Supreme Court’s full bench. With 12 justices, the court is expected to deliver a ruling that will define boundaries between political speech and legal accountability. Concerns of judicial politicization underline the need for a strictly law-based decisio

320x100
320x100